raspberrypi
-
[vodafone] 아시아 전용 APN Gateway 적용 - vodafone global IoT 500MB, 1000MB 서비스IoT 유심 2025. 2. 19. 17:05
global sim을 사용할 경우 국내 MNO사업자(SKT, KT, U+)에 비해 대기 시간(Latency)이 더 걸려서, 응답속도에 민감한 데이터 서비스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고객사들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먼저 대기 시간(Latency)이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합니다. iot sim을 장칙한 단말기는 APN(Access Point Name) Gateway주소를 지정하고 이 주소를 경유해서 인증 후 통신하게 되는데, 국내 MNO사업자의 경우 APN Gateway가 국내에 위치해 있는데 반해 global iot sim의 경우 APN Gateway가 유럽 또는 미국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국내 MNO사업자와 대기 시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MN..
-
Raspberry PI OS 64bit에서 LTE CATM1 모뎀 동작 확인리눅스 PPP 모뎀 2023. 6. 15. 17:05
라즈베리파이 OS 64비트 버전에서 권한 이슈가 있어서 확인을 해달라는 개발자분의 요청에 따라해당 OS를 설치해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테스트 한 버전은 Raspberry Pi OS (64-bit)입니다.Desktop Version을 사용했고 SD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동작시켰습니다.사용한 보드는 라즈베리파이 4 (4GB)이고 LTE CATM1 모뎀에 라즈베리파이 연결 보드를 사용했습니다.라즈베리파이 OS 최초 부팅 시 와이파이를 연결해서 최신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새로 설치한 64비트 라즈베리파이 OS의 리눅스 커널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 CATM1 모뎀을 연결하기 위한 설정은 라즈베리파이 매뉴얼과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매뉴얼 다운로드https://github.com/co..
-
rpirtscts mmap error 수정리눅스 PPP 모뎀 2023. 3. 31. 22:00
관련 글 https://cafe.naver.com/mechawiki/6581 [rpirtscts 에러]안녕하세요. 라즈베리파이4에서 LTE Cat M1을 아래 사진과 같이 세팅하였습니다. 문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codezoo...cafe.naver.com 최근 라즈베리파이 OS에서 UART RTS, CTS GPIO 설정을 위해 사용하는 rpirtscts 프로그램 동작 중 mmap 에러가 발생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내용의 개발자 게시판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LTE CATM1 내장형 모뎀은 라즈베리파이 OS 환경에서 PPP모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속도를 최고속도로 동작시키기 위해 UART 설정을 921600 bps 속도로 설정합니다. 빠른 전송..
-
라즈베리파이 wlan과 ppp 디바이스 바꿔가며 사용하기리눅스 PPP 모뎀 2022. 10. 11. 20:47
연휴 때 CATM1 커뮤니티를 통해 전달받은 질문입니다.ppp만 해제하고자 했던 이유는 환경이 바뀌어서 wifi와 동시에 접속된 상태에서 다른 명령어가 lte데이터를 사용할 위험이 있어서였습니다. 혹시 윈도우의 메트릭처럼 인터페이스 접속 우선순위 정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와이파이를 우선순위를 둬서 접속하게 하는 방법이요...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좀 더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보았습니다.시작하기 전에 우선 얘기드리자면 제가 사용하는 라즈베리파이 제로 W의 경우 IPV6설정이 되어 있으면 무선랜 동작이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래 주소의 방법대로 진행해서 IPV6기능을 disable 시켰습니다.https://cwesystems.com/?p=231 How to disab..
-
라즈베리파이 ZERO, 3, 4 연결용 HAT 액세서리 설계조립 & 하드웨어 2022. 5. 28. 02:22
https://codezoo.tistory.com/26 RPi Zero W, LTE CATM1 내장형 모뎀을 만나 날개를 달다최근 라즈베리파이 제로와 LTE CATM1 내장형 모뎀을 연결해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문의하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 제로codezoo.tistory.com이전에 썼던 블로그 글에서 LTE CATM1 내장형 모뎀을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했었는데,해당 글을 쓰면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하기 위해 여러 가닥의 점퍼선들을 연결하고 관리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HAT(라즈베리파이 확장소켓에 연결하는 액세서리들을 HAT이라고 합니다)으로 제작했습니다.거두절미하고 아래와 같은 구성에 L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