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Zoo
-
Arduino UNO R4 & LTE CATM1 모뎀 동작테스트 + 리눅스 개발TIP조립 & 하드웨어 2023. 7. 13. 22:26
Arduino에서 최근 UNO R4를 출시했습니다. 기존 ATMega328P 8비트 프로세서에서 Renesas ARM Cortex-M4 32비트 프로세서로 성능을 크게 업그레이드하고 기본 메모리 용량도 2KB에서 32KB로 대폭 늘렸습니다. UNO R4는 최소사양의 베이식 보드인 R4 MINIMA와 WIFI 모듈, LED 매트릭스가 포함된 R4 WIFI 두 종류 보드로 판매를 시작했고, 국내는 디바이스마트와 엘레파츠, 메카솔루션 등에서 정품보드를 손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UNO시리즈는 Arduino의 레퍼런스 보드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LTE CATM1 내장형 모뎀이 잘 동작되는지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 했습니다.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현재 git을 통해 오픈소스로 관리되는 라이브러리 ( https://g..
-
Raspberry PI OS 64bit에서 LTE CATM1 모뎀 동작 확인리눅스 PPP 모뎀 2023. 6. 15. 17:05
라즈베리파이 OS 64비트 버전에서 권한 이슈가 있어서 확인을 해달라는 개발자분의 요청에 따라해당 OS를 설치해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테스트 한 버전은 Raspberry Pi OS (64-bit)입니다.Desktop Version을 사용했고 SD카드를 새로 만들어서 동작시켰습니다.사용한 보드는 라즈베리파이 4 (4GB)이고 LTE CATM1 모뎀에 라즈베리파이 연결 보드를 사용했습니다.라즈베리파이 OS 최초 부팅 시 와이파이를 연결해서 최신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새로 설치한 64비트 라즈베리파이 OS의 리눅스 커널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 CATM1 모뎀을 연결하기 위한 설정은 라즈베리파이 매뉴얼과 동일하게 진행했습니다.>> 매뉴얼 다운로드https://github.com/co..
-
아두이노 확장보드 이렇게 사용하시면 안됩니다.조립 & 하드웨어 2023. 5. 31. 20:18
최근에 문제가 발생해서 검토 의뢰받은 LTE CATM1 보드 유형입니다. 아래와 같이 헤더 소켓없이 한 번에 솔더링 해서 사용하는 경우로 비슷한 사례가 4~5번 정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사용할 경우, 하드웨어 솔더링을 잘못하거나 아두이노 보드의 VBUS를 5V에 연결하지 않고 붙여 버렸거나, 쇼트가 발생했을 경우 LTE CATM1 내장형 모뎀, 쉴드, 나노확장보드, 아두이노 보드까지 모두 버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비슷한 4번의 사례에서 각각 쇼트, 아두이노 보드 고장, 내장형 모뎀과 쉴드보드 연결 실수와 같은 이슈로 인해 4번 모두 통째로 폐기처분 했습니다. 이런 구조를 잡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다양한 아두이노 보드를 필요에 맞춰서 교체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8비트 5V 입출력을 ..
-
rpirtscts mmap error 수정리눅스 PPP 모뎀 2023. 3. 31. 22:00
관련 글 https://cafe.naver.com/mechawiki/6581 [rpirtscts 에러]안녕하세요. 라즈베리파이4에서 LTE Cat M1을 아래 사진과 같이 세팅하였습니다. 문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github.com/codezoo...cafe.naver.com 최근 라즈베리파이 OS에서 UART RTS, CTS GPIO 설정을 위해 사용하는 rpirtscts 프로그램 동작 중 mmap 에러가 발생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내용의 개발자 게시판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LTE CATM1 내장형 모뎀은 라즈베리파이 OS 환경에서 PPP모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속도를 최고속도로 동작시키기 위해 UART 설정을 921600 bps 속도로 설정합니다. 빠른 전송..
-
ESP32 커넥티드 보드 제작조립 & 하드웨어 2023. 3. 18. 15:12
이전에 올린 Connected Car에 사용한 와이어링 자작 보드를https://codezoo.tistory.com/51 [다시보기] LTE CATM1, Azure IoT Central로 Connected Car 컨셉 제작https://www.e4ds.com/webinar_detail.asp?idx=784 LTE CATM1, Azure IoT Central로 Connected Car 컨셉 제작 - e4ds 웨비나 최신 자동차들은 커넥티드 카를 콘셉트로 상시 연결돼 있는 자동차를 지향하고 있습니다.자동차와codezoo.tistory.com회로설계 및 아트웍해서 ESP32 커넥티드 보드를 제작했습니다.2차 샘플로 제작 마무리 후 판매 준비 완료되어 공개합니다. 기존 수작업 보드의 경우 와이어링을 통한 합선 ..
-
[다시보기] LTE CATM1, Azure IoT Central로 Connected Car 컨셉 제작세미나 & 워크샵 2023. 2. 24. 02:23
https://youtu.be/HALNBhJ6Ifw발표자료 다운로드 Murata Type1SC 모듈 구매, 자료 관련 문의(주)아성코리아전지만 이사 010-5418-8812 mlcc@asung.com박상인 수석 010-6556-5405 sipark@asung.comLTE-CATM1 내장형 모뎀 대량 구매 상담, 외주 개발, 협업 문의(주)코드주장병남 대표 010-8965-1323 rooney.jang@codezoo.co.krhttps://www.devicemart.co.kr/goods/view?no=14077527 LTE-CatM1 내장형 모뎀 / 사물인터넷 통신모듈사물인터넷 개발을 위한 LTE 모듈입니다. / CodeZoo / 사물인터넷 통신모듈 / 유심은 상품상세의 링크에서 별도 구매가 필요합니다.w..
-
E4DS뉴스 인터뷰 - LTE통신망으로 커넥티드 카 구현세미나 & 워크샵 2023. 2. 11. 17:30
원문 출처 : https://www.e4ds.com/sub_view.asp?ch=2&idx=16330&t=0 “LTE 통신망으로 커넥티드 카 구현”셀룰러 통신으로 상시 연결 네트워크 환경 구축LTE Cat.M1모뎀·Azure·저전력 무선 MCU 탑재 [편집자주] 최신 자동차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돼 사용자가 자동차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커넥티드카는 상시 연결이 필수적으로, 어디서나 접속돼야 한다. LTE Cat.M1은 통신 인프라가 없어도 사용 가능하며, 상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위해 만들어지는 LTE 기반 통신 방식이다. LTE망의 커버리지를 지닌 최대 전송속도 300Kbps의 저속통신을 지원한다. IoT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코드주의 장병남 대표가 LTE Cat.M..
-
https 서버와 통신하기 두번째 이야기 (2)카테고리 없음 2023. 2. 7. 20:40
이번에는 https Post입니다. 이전글과 동일하게 인증서를 설치한 상태에서아래와 같이 테스트를 진행 했습니다. AT%HTTPCFG="NODES",3,"https://httpbin.org" OK AT%HTTPEV="ALL",1 OK AT%HTTPCFG="TLS",3,2,3OK // httpbin.org/post에 json 타입의 데이터를 post 합니다. AT%HTTPSEND="POST",3,,"https://httpbin.org/post","application/json",,,{"id" : 5 , "type" : "cat", "price" : 123.11} OK %HTTPEVU:"POSTCONF",3,0,200 //200 성공 리턴값을 unsolicited response로 받으면, AT..